전기요금 고지서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온다.
특히 여름이나 겨울처럼 냉방·난방이 필수인 계절에는 더 그렇다.
그런데 알고 보면 전기요금,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이 꽤 많다.
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많을 뿐이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
전기요금 할인제도에 대해 정리해본다.
대상자, 신청 방법, 얼마나 할인되는지까지
꼭 필요한 핵심만 간단하게 담아봤다.
🧾 할인 대상자 조건부터 확인하자
우선 할인제도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건 아니다.
일정 조건에 해당해야 신청 가능하다.
✔ 기초생활수급자
✔ 차상위 계층
✔ 독립유공자, 국가유공자
✔ 장애인 (1~3급, 일부 4급 포함)
✔ 다자녀 가구 (3자녀 이상)
✔ 출산 가구 (막내 만 1세 이하)
✔ 생명유지장치 사용자
✔ 사회복지시설
이 중 한 항목이라도 해당된다면
전기요금 기본료 면제 또는 요금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단, 2025년 기준으로 일부 조건은
지방자치단체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
한전 또는 주민센터에서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좋다.
📝 신청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
전기요금 할인제도는
자동 적용되지 않는다.
무조건 신청을 해야 한다.
📌 신청 방법 2가지
- 한전 고객센터(국번 없이 123)로 전화
-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모바일 앱(스마트한전) 이용
서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.
특히 기초수급자나 유공자라면
해당 자격을 증명할 수 있는 확인서나 복지카드 사본이 있어야 한다.
요즘은 주민센터에서도 접수를 도와주는 경우가 많다.
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서 물어보면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.
💸 할인율은 어느 정도일까
전기요금 할인율은 대상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.
📍 주요 할인 내용 (2025년 기준)
- 기초생활수급자: 기본요금 면제 + 전력량 요금 8,000원 한도 감면
- 장애인, 유공자: 기본요금 면제 + 전력량 요금 6,000원 한도 감면
- 다자녀 가구: 매월 30% 요금 할인 (월 최대 16,000원 한도)
- 출산 가구: 생후 1년까지는 월 30% 할인 (월 최대 10,000원 한도)
- 생명유지장치 사용자: 매월 30% + 전력량 요금 최대 16,000원 감면
여름철에는 폭염대비 추가 할인제도가 한시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.
이건 매년 6~9월 사이 별도 공고가 나오니 참고해야 한다.
✅ 정리하며
전기요금 할인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받을 수 있는데,
알지 못해서 놓치는 경우가 많다.
게다가 직접 신청해야만 적용되기 때문에
조건이 맞는다면 반드시 신청을 해두는 것이 좋다.
전기요금은 매달 나가는 고정 지출이지만
이런 제도를 잘 활용하면 꽤 큰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.
2025년, 몰라서 손해보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.
💡 이런 분들께 추천한다
- 매달 전기요금 부담이 큰 1~2인 가구
-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
- 3자녀 이상 다자녀 가정
- 부모님께 전기요금 감면 정보 알려드리고 싶은 분
- 공공요금 혜택 정보 콘텐츠 쓰고 싶은 블로거